디지털 세로토닌

2019년 결성/독일,한국

〈뉴 월드? II〉, 2022.

데이터 시각화 영상,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3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작지원. 작가 소장. 편집 및 제작: 카로리네 라이즈, 사운드: 세로토닌 커
브스.

2019년 결성, 서울에서 활동. 디지털 세로토닌은 카로리네 라이즈1(Caroline Reize, 1995년 독일 뮌스터 출생)와 세로토닌 커브스(조성민, 1993년 대구 출생)로 구성된 팀으로,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대중의 미디어 경험 환경 사이에서 발생하는 관계 변화를 탐구하고 있다. 미래의 불확실한 미디어 환경에 주목하는 한편, 이미지와 사운드 기반의 설치, 퍼포먼스 등 기존 매체를 이용해 인류의 감정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또한 다가오는 시대에 인간이 맞이하게 될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실제 삶의 관계를 고찰한다.《CURB》(디언타이틀드보이드, 2022), 《Art in Metaverse》(언더스탠드에비뉴, 2022),《Earth Museum》(킨텍스 외, 2021), 《PRECTXE Showcase Vol. 2》(부천아트벙커B39,2020) 등의 전시에 참여했고, 2020년 WeSA 레지던시, 현대자동차그룹 제로원 크리에이터,2019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다빈치 프로젝트 참여 작가로 선정됐다. JUEL(원주영상미디어센터, 2022)과 WeSA Festival(Culture Complex LAD, 2021)에서 오디오 비주얼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1
[편집자 주]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카롤리네 라이체’로 표기할 수 있으나, 작가의 기존표기 방식을 따랐다.


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만들며 주목받고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의 이면을 다룬 작품이다. 2020년 말부터 부상하기 시작한 NFT는 예술계에서도 디지털 예술작품의 가치에 영향을 주거나 많은 작가가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게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작가들은 NFT의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기도 한다. 대다수의 NFT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거래가 성사된다. 이더리움 같은 플랫폼은 가상자산의 채굴,NFT 인증 작업 등을 위해 고급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이때 과열된 네트워크는 정전을 일으킬 정도의 상당한 에너지를 소비하고 전자 폐기물을 생산하는 등 환경 문제를 낳는다. 그러나 가상자산 채굴자와 NFT 생산자는 이러한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이작품은 NFT 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오픈씨(OpenSea) 데이터와 컴퓨터 부품 사진을 활용하여
NFT가 야기하는 환경 문제를 다룬다. 현재 디지털 자산 기술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력을 거대한 파도로 표현한 작품의 이미지는 바닷가에 쌓여있는 쓰레기를 연상시키기도 한다.